본문 바로가기

Stay Richful/금융 꿀팁

개인형 퇴직연금(IRP)는 무엇? IRP로 1년에 얼마가 절세될까?

반응형

개인형 퇴직연금(IRP)이란?
개인형 퇴직연금(IRP, Individual Retirement Pension)은 근로자나 자영업자가 퇴직 후 안정적인 생활을 위해 자발적으로 가입하는 퇴직연금 제도입니다. IRP는 퇴직금 외에도 추가로 저축할 수 있는 계좌로, 다양한 금융상품에 투자할 수 있는 장점이 있습니다. IRP는 세액공제 혜택을 받을 수 있어 절세 효과가 큽니다.

 

IRP의 절세 혜택
IRP에 납입한 금액은 연간 최대 700만 원까지 세액공제를 받을 수 있습니다. 세액공제율은 소득에 따라 다르며, 일반적으로 13.2%에서 16.5% 사이입니다. 이를 통해 절세할 수 있는 금액을 계산해보겠습니다.

(1) 직장인 김씨, 소득이 5,500만 원 이하

세액공제율 16.5%
최대 납입 금액: 700만 원
절세 금액: 700만 원 × 16.5% = 115만 5천 원

직장인 김씨의 경우
김씨는 연봉 5,000만 원을 받는 직장인입니다. 

김씨는 IRP에 연간 700만 원을 납입하고 있습니다. 

김씨의 세액공제율은 16.5%입니다.

김씨는 IRP를 통해 115만 5천 원의 세금을 절약할 수 있습니다.

김씨는 절약한 세금을 활용해 가족과 함께 여행을 가거나, 

추가 저축을 통해 더 많은 자산을 쌓을 수 있습니다.


(2) 자영업자 이씨, 소득이 5,500만 원 초과

세액공제율 13.2%
최대 납입 금액: 700만 원
절세 금액: 700만 원 × 13.2% = 92만 4천 원
실생활 예시

자영업자 이씨의 경우
이씨는 연간 소득이 6,000만 원인 자영업자입니다. 

이씨는 IRP에 연간 700만 원을 납입하고 있습니다. 

이씨의 세액공제율은 13.2%입니다.

이씨는 IRP를 통해 92만 4천 원의 세금을 절약할 수 있습니다.

이씨는 절약한 세금을 사업 확장에 투자하거나, 자녀 교육비로 사용할 수 있겠죠!



IRP는 퇴직 후 안정적인 생활을 위한 자금 마련뿐만 아니라, 세액공제를 통해 절세 효과도 누릴 수 있는 유용한 제도입니다. 소득에 따라 다르지만, 최대 115만 5천 원까지 절세할 수 있어 많은 이들에게 매력적인 선택이 될 수 있습니다. 

실생활에서도 다양한 방식으로 절약한 세금을 활용할 수 있어 더욱 유용합니다.

반응형